파일
- 파일이란 하드 디스크나 SSD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관련 정보의 집합
- 파일 관련 부가 정보를 속성 또는 메타데이터라고 한다.
- 파일 유형은 운영체제가 인식하는 파일 종류를 나타낸다.
- 파일 유형을 알리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하는 방식을 파일 이름 뒤에 붙는 확장자를 이용하는 것이다.
운영체제는 다음과 같은 파일 연산을 위한 시스템 호출을 제공한다.
디렉터리
- 파일을 일목요연하게 관리하기 위해 디렉터리를 이용한다.
-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는 디렉터리를 폴더라고 부른다.
1단계 디렉터리
- 모든 파일이 하나의 디렉터리 아래에 있는 구조
트리 구조 디렉터리
- 최상위 디렉터리가 있고 그 아래에 여러 서브 디렉터리가 있다. 최상위 디렉터리는 흔히 루트 디렉터리라고 부르고 슬래시로 표현한다.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
- 루트 디렉터리에서 자기 자신까지 이르는 고유한 경로를 절대 경로라고 한다.
- 현재 디렉터리부터 시작하는 경로를 상대 경로라고 한다.
파일 시스템
- FAT 파일 시스템, 유닉스 파일 시스템
파티셔닝과 포매팅
-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려면 파티션을 나누는 작업(파티셔닝), 포맷 작업(포맷팅)을 거쳐야 한다.
- 파티셔닝은 저장 장치의 논리적인 영역을 구획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 파티셔닝 작업을 통해 나누어진 영역 하나하나를 파티션이라고 한다.
- 포매팅은 파일 시스템을 설정하여 어떤 방식으로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쓸 준비를 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파일 할당 방법
- 운영체제는 파일과 디렉터리를 블록 단위로 읽고 쓴다.
연속 할당/불연속 할당, 연결 할당/색인 할당
연속 할당
- 보조기억장치 내 연속적인 블록에 파일을 할당하는 방식
- 디렉터리 엔트리에 파일 이름과 더불어 첫 번째 블록 주소와 블록 단위의 길이를 명시한다.
- 외부 단편화를 야기할 수 있다.
연결 할당
- 각 블록 일부에 다음 블록의 주소를 저장하여, 각 블록이 다음 블록을 가리키는 형태로 할당하는 방식
- 반드시 첫 번째 블록부터 하나씩 차례대로 읽어야 한다.
- 임의 접근 속도가 매우 느리다.
- 하드웨어 고장이나 오류 발생 시 해당 블록 이후 블록은 접근할 수 없다.
색인 할당
- 파일의 모든 블록 주소를 색인 블록이라는 하나의 블록에 모아 관리하는 방식이다.
- 임의의 위치에 접근하기 쉽다.
- 색인 할당을 기반으로 만든 파일 시스템이 유닉스 파일 시스템이다.
파일 시스템 살펴보기
- FAT 파일 시스템
- 각 블록에 포함된 다음 블록의 주소들을 한데 모아 테이블 형태로 관리한 테이블
- FAT을 이용하는 파일 시스템을 FAT 파일 시스템이라고 한다.
- 유닉스 파일 시스템
- 색인 할당 기반의 유닉스 파일 시스템이다.
- 이 색인 블록을 i-node라고 한다.
- 블록 주소 중 열 두개는 직접 블록 주소를 저장한다.
- 첫째 내용으로 충분하지 않다면 열세번째 주소에 단일 간접 블록 주소를 저장한다.
- 단일 간접 블록이란 파일 데이터를 저장한 블록 주소가 저장된 블록을 말한다.
- 둘째 내용으로 충분하지 않다면 열네 번째 주소에 이중 간접 블록 주소를 저장한다.
- 이중 간접 블록이란 데이터 블록 주소를 저장하는 블록 주소를 저장된 블록을 의미한다.
- 셋째 내용으로 충분하지 않다면 열다섯 번째 주소에 삼중 간접 블록 주소를 저장한다.
'책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 14장 정리 (0) | 2024.08.04 |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 13장 정리 (0) | 2024.07.31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 12장 정리 (0) | 2024.07.31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 11장 정리 (0) | 2024.07.27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 10장 정리 (0) | 2024.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