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MC 서버 4주차 준비에 앞서 QuickDBD Pro 버전이 필요하다고 해서, 무료로 받기 위해 게시물을 작성하고자 한다.
QuickDBD의 후기를 쓰기 전에 ERD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
직역하자면 개체-관계 모델이다. 쉽게 생각하면, 테이블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다이어그램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DB 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즉, API를 효율적으로 뽑아내기 위한 모델 구조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DB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ERD의 기본 요소로는 Entity, Relationship, Attribute로 구성된다. 실세계의 모든 업무체계는 기본요소 3가지(Entity, Relationship, Attribute)로 모두 표현이 가능하다.
- Entity : 시스템화 하고자 하는 사건, 사물
- Relationship : 엔티티간, 애트리뷰트간의 연관성
- Attribute : 엔티티, 관계성의 성질을 나타내는 더 이상 쪼갤수 없는 정보의 단위
ERD 사용법
ER 다이어그램은 어느 시스템에서든 사용할 수 있지만, 그들은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데이터 베이스 모델링
관계형 DB에서 주로 널리 사용됩니다. 엔티티와 속성들을 테이블과 컬럼들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테이블들과 관계들을 시각화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계획 단계에서 사용됩니다. 서로 다른 시스템 요소와 서로 간의 관계를 식별하는데 도움 됩니다. data flow diagram 의 기초로써 종종 사용됩니다.
참고: https://mulmandu17.tistory.com/68
ERD 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할까?
시작하며 새로운 프로젝트를 하기에 앞서, 어떤 클래스들이 필요하고 프로퍼티들은 어떤 것들이 브레인스토밍 및 간편하게 정리해보려고 ERD를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똑똑한 개발자는 머리 속
mulmandu17.tistory.com
QuickDBD 사용후기
https://www.quickdatabasediagrams.com/
Home - QuickDBD
Quick Database Diagrams (QuickDBD) is a simple online tool to quickly draw database diagrams by typing.
www.quickdatabasediagrams.com
QuickDBD를 사용하기 위해서 위에 있는 링크에 들어가 TRY THE APP 버튼을 눌러 체험해보면 된다.
필자는 위에 있는 사이트에 들어가 체험을 진행해보았다.
TRY THE APP 버튼을 누르고 들어가면 위와 같이 ERD가 기본적으로 생성되어 있어 편리하게 쓸 수 있습니다!
데이터 베이스를 설계해본 적이 있는데 그때는 Mysql 쉘창을 사용해서 테이블을 직접 만들었다. 이번에 QuickDBD를 사용해보니 코드라고 해야할지는 모르겠지만 텍스트로 작성한 것에 대한 테이블의 구조와 관계가 이미지로 나타나는 기능이다 보니 수정과 데이터 추가측면에서 훨씬 간편하다고 느꼈습니다!
아직 데이터 베이스를 정식적으로 설계하고 서버를 구축하여 프로젝트를 전문적으로 돌려본 적은 없지만, QuickDBD와 같은 ERD 툴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시각화 및 이미지로 나타내어 데이터를 한 눈에 본다면, 설계 작업이 매우 수월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직 학부생 1학년이라 대형 프로젝트(데이터베이스 + 개발)을 진행해본적은 없지만 이러한 대형 프로젝트에 들어갈 규모가 방대한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이 QuickDBD를 사용한다면 매우 수월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전에 생활코딩의 MariaDB강의를 통해 Mysql에 대해서 얕게 알아본적이 있다. 쉘 관리 창에 직접 테이블 생성 및 삭제에 대한 쿼리를 입력하여 관리하는 것이 약간 번거로웠는데, 이러한 ERD 기반 QuickDBD를 사용한다면 데이터베이스와 관련하여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클라이언트 및 개발자 간에 소통 및 진행상황 공유가 수월해질 것이라고 확신한다. 현재 서버 관리에 대한 진로희망을 가지고 있는 나에게, 회사 및 산학협력 프로젝트, 그리고 해커톤과 같은 대형 프로젝트와 협업이 필요한 프로젝트 경험이 많아질 것이다. 백엔드 개발자와 프론트엔드 개발자 간에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소통, 구조를 ERD를 사용하여 나타낸다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쉽게 파악하고 어떤 용도로 쓸 것인지에 따라 DB 구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QuickDBD 기능 : 내가 생성한 테이블을 원하는대로 테이블 배치 가능, 개체들의 관계를 선으로 나타나 시각적으로 파악이 쉽게 가능하다. Primary Key, Foreign Key를 분리하여 지정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ERD에 대해 SQL 파일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EXPORT 탭에서 원하는 DB(ANSI SQL, MySQL/MariaDB, Oracle, PostgreSQL, SQL Server)에 맞춰 추출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편리하게 SQL파일로 추출 가능하다. 또한 SQL 파일이 아닌, PDF나 WORD 문서로도 ERD를 추출할 수 있어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매우 용이할 것 같다.
QuickDBD Pro 버전 free 권한 받기
1. 트위터에 @Quick_DBD에 대해 트윗한다.
2. 2개월 Pro 버전 free 권한을 얻는다.
<블로그를 통해 Pro 버전 free 권한 받기>
1. QuickDBD를 사용한 후 블로그에 review를 작성한다. 이때, 블로그 리뷰는 500 단어 이상을 작성해야 한다. 주의해야 할 것이 500자가 아닌 500 단어라는 것이다.
2. promo@quickdbd.com 으로 free 권한을 원한다는 이메일을 보낸다. 이때, review 작성한 블로그 링크도 함께 첨부해서 보내야 한다. 이메일 양식은 아래를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 이메일 양식 ==============
I posted a QuickDBD review on my blog. -> 게시물 링크
I want to get 1 year for free Pro Plan.
======================================
3. promo@quickdbd.com 으로 부터 확인 메일을 받는다.
4. 답장 받은 이메일 계정으로 QuickDBD에 로그인하여 등록한다.
QuickDBD의 오른쪽 상단 email을 클릭하여 Account에 접속한다. Pro plan Expires on 부분과 Eamil Confirmed 부분을 확인해서 NO라고 명시되어 있으면, 권한이 아직 부여되지 않은 상황이다.
5. QuickDBD Pro 버전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