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1

TIL 2022-01-14 / 스프링

[한 것] UMC 앱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나는 Post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Post부분의 CRUD 설계를 구현 완료 및 테스트 코드 작성 중이다. 페이징 처리 코드 간결히 하였고, Mockmvc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다. [배운 것]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을 팀장님의 코드를 보고 따라하면서 배웠다. @WebMvcTest, @MockBean, DTO to Entity 등.. [느낀점] 테스트 코드를 짜는 것은 고역인 것 같다. [할 것] 김영한님의 ORM JPA 프로그래밍 책을 구매하여 JPA에 대해 익혀본다. 바킹독의 알고리즘 강의를 꾸준히 듣고 백준 문제 풀기 스파르타코딩클럽 르탄즈 2기 준비하기

etc/TIL 2022.01.14

TIL - 2022-01-11 / 프로젝트

[한 것] UMC 앱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나는 Post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Post부분의 CRUD 설계를 구현 완료했다. PostController와 PostService 부분을 연결 완료 하였고, 페이징 처리도 얼추 완성되는 것 같다. [배운 것]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을 배웠다. @WebMvcTest, @MockBean given, mvc.perform()을 작성하는 법을 팀장님께 배우고 한번 적용해보았다. [느낀점] 세상에는 나보다 대단하고 열정적인 사람이 많은 것 같다. 정말 세삼스레 나는 조그마한 존재라는 것을 다시 한번 느낀다. 이번 겨울 방학 동안 열심히 JPA 공부하고, 스프링 공부하면서 열심히 살아야지 [할 것] 김영한님의 ORM JPA 프로그래밍 책을 구매하여 JP..

etc/TIL 2022.01.12

@RestController vs @Controller

@RestController @Controller 는 반환 값이 String 이면 뷰 이름으로 인식된다. 그래서 뷰를 찾고 뷰가 랜더링 된다. @RestController 는 반환 값으로 뷰를 찾는 것이 아니라, HTTP 메시지 바디에 바로 입력한다. Controller 대신에 @RestController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면, 해당 컨트롤러에 모두 @ResponseBody 가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 뷰 템플릿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HTTP 메시지 바디에 직접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름 그대로 Rest API(HTTP API)를 만들 때 사용하는 컨트롤러이다. 참고로 @ResponseBody 는 클래스 레벨에 두면 전체에 메서드에 적용되는데, @RestController 에노테이션 안에 @Respons..

백엔드/스프링 2022.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