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 45

싱글톤 방식의 주의점

싱글톤 패턴, 스프링 같은 싱글톤 컨테이너를 사용할 때, 객체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해서 공유하는 싱글톤 방식은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는 상태를 유지(stateful)하게 설계하면 안된다. 무상태(stateful)로 설계해야 된다. 특정 클라이언트에 의존적인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특정 클라이언트가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가급적 읽기만 가능해야 한다. 자바에서 공유되지 않는, 지역변수, 파라미터, ThreadLocal 등을 사용해야 한다. 스프링 빈의 필드에 공유 값을 설정 금지해야 한다.

백엔드/스프링 2022.01.24

JPA, JPQL에서 limit 사용하기

@Query(nativeQuery = true, value = "SELECT * FROM SLSNotification s WHERE s.userId = :userId ORDER BY snumber DESC LIMIT 20") List getUserIdforManage(@Param("userId") String userId); 쿼리에서 limit을 사용하기 위해서, nativeQuery = true문을 옵션으로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7616482/how-to-limit-result-in-query-used-in-spring-data-repository How to limit result in @Query used in Spri..

백엔드/스프링 2022.01.24

싱글톤 컨테이너란?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1개만 생성)으로 관리한다. 스프링 빈이 바로 싱글톤으로 관리되는 빈이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턴 패턴을 적용하지 않아도,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컨테이너 역할을 하는데, 싱글톤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싱글톤 레지스트리이다. [싱글톤 컨테이너의 장점] 싱글톤 패턴을 위한 지저분한 코드가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 DIP, OCP, 테스트, private 생성자로 부터 자유롭게 싱글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자 의존성 주입으로, 스프링 빈에 postRepository가 자동으로 주입되어 postRepository를 요청할때마다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동일한 postRepositor..

백엔드/스프링 2022.01.23

싱글톤 패턴이란?

싱글톤 패턴은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딱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싱글톤 패턴은 private 생성자를 사용해서, 외부 클래스에서 임의로 new 키워드를 통해 객체 생성 하는 것을 막는다. 싱글톤 패턴을 적용한 서비스를 한번 구현해보자. 자기 자신을 내부에 private으로 가지고 있다. static은 클래스 레벨에 존재하기 때문에 단 하나만 존재하기 때문에 선언한다. private 생성자를 이용하여 다른 클래스에서 singletonservice를 부르려는 것을 막는다. 하지만 이러한 구현을 일일이 할 필요없이 스프링 컨테이너를 쓰면 객체를 싱글톤으로 만들어 관리해준다. 기존에 있는 객체를 재활용하여 성능 향상한다는 장점이 있다. [싱글톤 패턴의 단점]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는 코드 자..

백엔드/스프링 2022.01.23

싱글톤이란?

싱글톤은 객체 인스턴스가 자바 JVM에 하나만 존재해야 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왜 웹 어플리케이션에 싱글톤 패턴이 필요할까? 스프링은 주로 기업용 온라인 서비스를 지원하려고 만들어졌습니다.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은 주로 웹 애플리케이션 입니다. 웹 어플리케이션은 보통 여러 고객이 동시에 요청합니다. 스프링이 없는 DI 컨테이너의 경우 웹 서비스에서 여러 사람이 요청하면, 서비스 객체를 각각마다 생성하여 반환해야 합니다. 즉 계속 요청할때마다 객체를 만들어야 하여 비효율적입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해당 객체가 딱 1개만 생성되고 공유하도록 설계하면 된다라는 개념 → 싱글톤 패턴입니다.

백엔드/스프링 2022.01.23

@RestController vs @Controller

@RestController @Controller 는 반환 값이 String 이면 뷰 이름으로 인식된다. 그래서 뷰를 찾고 뷰가 랜더링 된다. @RestController 는 반환 값으로 뷰를 찾는 것이 아니라, HTTP 메시지 바디에 바로 입력한다. Controller 대신에 @RestController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면, 해당 컨트롤러에 모두 @ResponseBody 가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 뷰 템플릿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HTTP 메시지 바디에 직접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름 그대로 Rest API(HTTP API)를 만들 때 사용하는 컨트롤러이다. 참고로 @ResponseBody 는 클래스 레벨에 두면 전체에 메서드에 적용되는데, @RestController 에노테이션 안에 @Respons..

백엔드/스프링 2022.01.11